北주민 굶어 죽어도…김여정 디오르, 최선희는 구찌 '명품 사랑'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왼쪽), 최선희 외무상(가운데), 현송월 선전선동부 부부장이 각각 가방을 든 모습. NK뉴스, 조선중앙통신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수행한 북한 고위직 여성들이 명품 가방을 소지하고 있었다고 미국의 북한 전문 매체 NK 뉴스(NK NEWS)가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6일 보도한 사진에 따르면 콤소몰스크나아무레의 유리 가가린 항공 공장을 방문한 최선희 북한 외무상이 든 핸드백이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구찌 핸드백이었다. 타조 가죽으로 만든 주미(Zumi) 모델의 이 핸드백은 지금은 생산되지 않지만 중고 시장에서 1만 달러(약 1330만원)에 거래된다.
김 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은 검은색 디오르 핸드백을 든 모습이 포착됐다. 김여정이 든 핸드백은 송아지 가죽으로 만든 레이디 디오르(Lady Dior) 고급제품으로 디오르사 홈페이지에서 7000달러(약 929만 원)에 판매되고 있다.
다만 현송월 선전선동부 부부장은 중국 웹사이트에서 8 달러(약 1만원)에 살 수 있는 중국산 핸드백을 들고 콤소몰스카나아무레를 방문했다.
북한 고위직 여성들의 명품 핸드백 사랑은 ‘자본주의 문화’가 북한을 파괴하는 무기로 비판하면서 단속하는 것과는 배치된다. 또 지난 2006년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 결의 1718호에 따라 북한에 사치품 수출이 금지돼 있다.

(왼쪽부터) 2017년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설주. 해외 명품 브랜드인 디오르 백을 비롯해 화려한 패턴의 패션을 선보였다. 중앙통신·노동신문=연합뉴스
하지만 북한 고위직들의 명품 사랑은 여전하다. 러시아 방문 때 김정은 위원장이 차고 있던 시계도 스위스제 IWC 샤프하우젠 시계였으며 과거 부인 이설주도 디오르 핸드백을 든 모습이 촬영됐다. 딸 주애는 디오르 외투를 입고 등장한 적이 있다. 김여정은 지난 7월 하순 중국 대표단이 평양을 방문할 당시 불가리 핸드백을 든 모습이 포착됐다.
호주 디킨대 인도주의 리더십 센터의 나자닌 자데-커밍스 부소장은 “북한 고위층들이 일반 주민들은 꿈도 꾸지 못할 물건들을 소지하는 것이 드문 일은 아니다”면서 “북한의 초고위층이 살아가는 방식과 평균적인 북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방식의 큰차이를 잘 알려준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동안 북한 주민 가운데 1000만명 이상이 기아와 영양실조에 시달렸다.
下一篇:[Top Envoy] Russian satellite help not likely priority for North Korea: Chun
相关文章:
- Over 1,300 rescue workers still traumatized by Itaewon Halloween tragedy
- PM visits Greece for talks on cooperation, World Expo bid campaign
- Le Sserafim becomes house ambassadors for Louis Vuitton
- “가자주민 삶 최악…한국지원 절실”
- SC Bank Korea CEO nominated for fourth term
- 기세 올린 이재명 체제…이번엔 한동훈 겨냥 공세 집중
- 한 경기도 안 뛰고 병역 면제?…국감 오른 아시안게임 '병특'
- S. Korea to send US$1 mln in aid to quake
- 김성원 여의도연구원장 "공천장사 지라시, 허위사실 유포로 고소"
- “北, 무단철거 금강산 골프장서 옥수수 건조”
相关推荐:
- One Store attracts W20b from Krafton
- KT & G to build new tobacco plant in Kazakhstan
- 28th BIFF comes to an end
- 기세 올린 이재명 체제…이번엔 한동훈 겨냥 공세 집중
- Supporters of Israel hold rally in Seoul, urge Hamas to stop atrocities
- Striving to be the best, TXT returns with 3rd LP
- Seoul shares dip 1 pct on Fed rate hike woes, won sharply slides
- Korean economy expected to grow by 2.1% in 2024: Hana Institute
- Import prices up for 3rd month in September on higher oil prices
- 한 경기도 안 뛰고 병역 면제?…국감 오른 아시안게임 '병특'
- [Contribution] Why hope matters in climate crisis
- 北, 日의 장거리미사일 조기 배치 추진에 “전쟁국가 일본 실체”
- Foreign workers' deaths get weak sanctions
- Welcome Daehakro Festival lights up Seoul's stage hub
- Cast of ‘Norma’ says opera difficult to sing but easy to enjoy
- 김성원 여의도연구원장 "공천장사 지라시, 허위사실 유포로 고소"
- Number of deaths in cycling accidents soars
- Yoon, doctors set to clash over medical school quota
- [Our Museums] Discover wisdom of hanok at Eunpyeong History Hanok Museum
- Hyundai Motor shows off air mobility, drone tech at Seoul defense fair
- Discussions on need for dialogue on N. Korea denuclearization diminish in US: ambassador
- HD Korea Shipbuilding to build world's first ammonia
- 공군 수송기 급파, 한·일 220명 텔아비브 탈출
- S. Korea to review additional measures against N. Korea's arms transfer to Russia
- 'Scent of Ink' to be performed at Kennedy Center in Washington
- Wage talks between Kia, labor union fail again
- [이번 주 리뷰] 중동 전쟁 우려…국민의힘 보선 참패(9~14일)
- BOK expected to stand pat this week over growth risks: experts
- Enhypen announces Nov. 17 comeback with 'Orange Blood'